반응형

 

 

 

 

 

가입 대상

첫째, 크게 만으로 19-34 가입 가능

둘째, 총 급여액 3,600만원 이하 가능

셋째, 금융 소득 3년 이내 과세대상 아닌 사람

한마디로 찐 청년에, 부자 아니고, 중소기업 다니는 사람만 해당된다는 말입니다.

그럼 이제 우대 은행 알아볼게요.

 

국민은행

먼저 첫 번째로 국민은행입니다. 국민은행은 무료 가산금리를 1%나 더 줘서 최대 10.49%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가산 금리

급여이체로 0.5%로 자동이체로 0.3%로 첫 거래 우대로 0.5% 그래서 최대 우대 금리는 1%까지 가능합니다.

이자

최대 금리를 받는다면 2년간 매월 50만원씩 적금하고 6%으 이자를 지원받아 75만원과 정부 지원금 36만 원, 최대 111만 원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추가 사은품

이벤트 응모 시 전원에게 신세계 상품권 1만 원을 지급하고, 애플워치, 루이비통 지갑, LG전자 스탠바이미, 삼성 갤럭시 북 프로도 추첨으로 지급한다고 합니다.

첫 가입 지원금

참고로 첫 가입 지원금 3만원 지급 행사는 이미 조기 마감되었습니다. 이것까지 있었으면 무조건 국민은행이 좋은데 아쉽네요.

신한 은행

두 번째는 신한은행입니다. 신한은행도 역시 최대 금리 1%를 줘서 6%까지 가능합니다.

이자율

우대조건은 신한 인증서 0.2%, 머니 버스 가입 후 금융자산 연결 0.3%, 소득 이체 0.5%, 1년간 신규 상품일 경우 0.5% 4가지 우대사항이 있는데 이중 최고 1%만 된다고 합니다.

추가 사은품으로는 3월 31일까지 가입 시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1매를 증정한다고 합니다.

IBK 기업은행

세 번째는 IBK 기업은행입니다. 특판 상품을 출시해 우대금리는 주고 있지만 이벤트나 추가 사은품 행사는 없습니다.

ibk 우대금리

IBK 기업은행은 온라인 통장 개설 시 0.3%, 급여이체 시 0.3%, 당행 신용, 체크 카드 연 300만원 이상 사용 시 0.3% 해서 총 0.9% 우대금리를 적용해 주네요. 앞에 은행 들고 다는 작지만 별 차이 없기에 IBK 기업은행을 주 거래로 사용하시는 분은 하셔도 될듯합니다.

청년 희망 저금

다른 은행들은 기본 5%에 소정의 가산금리를 적용하고 있기에 앞에 소개해 드렸던 3개 은행 중에 하시는 게 도움이 될듯합니다.

5부체

 

출시 첫날인 21부터 25일까지는 5부제를 적용한다고 합니다. 보시고 연도에 맞게 가입하시던지 아님 둘째 주에 가입하시면 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2022년 2월 21일 청년희망적금이 출시가 된다. 은행 기본 이자에 더해 최대 4% 저축장려금까지 챙길 수 있어 많은 이들의 관심이 이어지고 상황. 자격조건이 크게 까다롭지 않아 소득요건만 충족한다면 비교적 쉽게 가입이 가능하며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혜택까지 받을 수 있으니 아래 자격조건을 확인해보고 신청해보자.

2022 청년희망적금 신청 대상

1. 연령

만19 ~ 34세 청년이어야 한다. (87년 2월 22일 이후 출생자)

단, 군대 다녀온 분들이라면 최대 6년인정이 된다. 예를 들어 2년 다녀왔다면 36세도 가능하다는 뜻

 

 

2. 소득

직전년도(21년 1월 ~ 12월) 총급여가 3600만원 이하여야 한다.(종합소득금액은 2600만원 이하) 단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제외된다.

*직전년도 소득은 22년 7월 경에 확정되다보니 우선적으로 20년 1월 ~ 12월 소득을 기준으로 가입가능여부를 판단하고 가입 이후에 소득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저축장려금은 지급하나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 적용은 되지 않는다.

* 소득이 없는 분들 또는 있는 분들이더라도 국세청을 통해 소득금액 증명이 불가능한다면 가입 할 수 없다.

위 연령, 소득 조건에 충족한 청년 분들이라면 아래 지원내용을 확인해보고 신청해보자.

어떤 혜택이 있나?

1. 매월 50만원 한도로 자유 납입할 수 있으며 만기는 2년이다.

2. 시중 이자 + 저축장려금 지원

저축장려금은 1년차 납입금액의 2%, 2년차 4%를 지원받게 되는데 최대 36만원까지 지원된다.

 

3. 비과세

일반 적금 만기 해지시에는 이자소득에 대해 이자소득세, 농어촌특별세가 과세되서 15.4%를 제하고 받게 되는데 청년희망적금은 비과세 적용을 받을 수 있다.

* 비과세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2022년 12월 31일까지 가입을 완료해야 한다.

저축금액에 따른 2년 만기해지시 예상 실수령액을 계산해봤다. 현 시점에서 은행금리가 몇%적용될지 몰라 일단 2%로 계산을 하기로 한다.

매월 10만원 저축할 경우

원금 2,400,000원 + 은행이자 50,000원 + 장려금 96,000원 = 총 2,546,000원

매월 30만원 저축할 경우

원금 7,200,000원 + 은행이자 150,000원 + 장려금 288,000원 = 총 7,638,000원

매월 50만원 저축할 경우

12,000,000원 + 은행이자 250,000원 + 장려금 360,000원 = 총 12,610,000원

( 매월 50만원 납입한 경우 2년차 납입액의 4%는 480,000원이나 저축장려금 지원한도는 최대 36만원이다.)

위 계산은 4% 금리 적용이 아닌 2년차 납입한 총 금액의 4%를 지원해준다고 해석해서 계산했다.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니 한번 더 확인이 필요하다.

2.7일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내용

위에서는 은행 2% 금리로 계산을 했지만 오늘 금융위원회에서 발표한 자료를 읽어보니 은행제공금리 연 5% 가정을 하고 시뮬레이션을 해본 결과 이는 연9.31% 일반적금과 유사하다는 내용이다.

 

현재 5% 금리 적금은 거의 없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것저것 충족해야되는 조건들이 많고 1년이하 인 경우가 많은데... 금융위 보도자료대로라면 약 9% 일반적금 수준이라 매력적이다.

청년희망적금 신청방법

첫번째,

2022년 2월 9일 ~ 18일에 본인이 가입 가능한지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 서비스를 통해 가능여부를 확인하자. 아래 표기한 은행 앱(APP)에서 참여할 수 있으며 운영시간은 주말 제외 영업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10시까지

* 87년 2월 21일 이전 출생자는 미리보기 통해 가입가능여부 확인이 어려워 출시 후 대변으로 가능여부 확인을 해야 한다.

두번째,

2022년 2월 21일 월요일에 출시 된다. 1인 1계좌만 개설가능하며 아래 11개 은행 앱 또는 영업점 신청할 수 있다.

국민, 기업, 우리, 하나, 신한, 전북, 농협, 부산, 대구, 광주, 제주은행

경남은행은 2월 28일, SC제일은행은 6월 경에 출시예정.

출시 첫주에는 혼잡이 예상되어 5부제 운영을 한다.

 

(2월 21일 월요일 ~ 25일 금요일)

예를 들어 88년생이라면 2월 23일 화요일에 가능.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