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1.9.토, 정례브리핑)
□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1월 9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596명이 확인되었고, 해외유입 사례는 45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67,999명(해외유입 5,692명)이라고 밝혔다.
○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59,612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3,997건(확진자 80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93,609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641명이다.
* 익명검사 신규 확진자는 신상정보 확인 및 역학조사 등을 진행하여 확진자 통계에 반영
○ 신규 격리해제자는 955명으로 총 49,324명(72.53%)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17,575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409명이며, 사망자는 1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100명(치명률 1.62%)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 (’21.1.9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 합계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신규 | 596 | 180 | 17 | 12 | 46 | 6 | 5 | 8 | 0 | 195 | 5 | 30 | 26 | 13 | 5 | 20 | 23 | 5 |
누계 | 62,307 | 20,590 | 2,029 | 7,905 | 3,162 | 1,223 | 866 | 711 | 134 | 15,516 | 1,371 | 1,303 | 1,697 | 837 | 542 | 2,534 | 1,436 | 451 |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 (’21.1.9일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 합계 | (추정)유입국가* | 확인 단계 | 국적 | ||||||||||||||||||||||||||
중국 | 아시아 (중국 외) | 유럽 | 아메리카 | 아프리카 | 오세 아니아 | 검역단계 | 지역사회 | 내국인 | 외국인 | |||||||||||||||||||||
신규 | 45 | 0 | 11 | 1 | 29 | 4 | 0 | 10 | 35 | 25 | 20 | |||||||||||||||||||
누계 | 5,692 | 34 | 2,638 | 992 | 1,819 | 187 | 22 | 2,532 | 3,160 | 3,106 | 2,586 | |||||||||||||||||||
(0.6%) | (46.3%) | (17.4%) | (32.0%) | (3.3%) | (0.4%) | (44.5%) | (55.5%) | (54.6%) | (45.4%) | |||||||||||||||||||||
* 아시아(중국 외) : 필리핀 1명(1명), 인도 1명(1명), 인도네시아 2명(1명), 러시아 4명, 미얀마 1명(1명), 아랍에미리트 2명(2명), 유럽 : 독일 1명, 아메리카 : 미국 29명(13명), 아프리카 : 남아프리카공화국 1명, 짐바브웨 1명, 이집트 1명(1명), 잠비아 1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
【확진자 관리 현황*(’20.1.3일 이후 누계)】
구분 | 격리해제 | 격리 중 | 위중증 환자** | 사망자 |
1.8.(금) 0시 기준 | 48,369 | 17,908 | 404 | 1,081 |
1.9.(토) 0시 기준 | 49,324 | 17,575 | 409 | 1,100 |
변동 | (+)955 | (-)333 | (+)5 | (+)19 |
* 1월 8일 0시부터 1월 9일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 1월 9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구분 | 전국 | 수도권 | 충청권 | 호남권 | 경북권 | 경남권 | 강원권 | 제주권 |
(서울, 인천, 경기) | (대전, 세종, 충남, 충북) | (광주, 전남, 전북) | (대구, 경북) | (부산, 울산, 경남) | (강원) | (제주) | ||
1.9일(0시 기준) | 596 | 421 | 61 | 24 | 32 | 48 | 5 | 5 |
주간 일 평균 | 738.1 | 520.9 | 50.0 | 42.1 | 44.7 | 52.4 | 21.4 | 6.6 |
주간 총 확진자 수 | 5,167 | 3,646 | 350 | 295 | 313 | 367 | 150 | 46 |
- 1월 9일 0시 기준 국내발생 신규 확진자는 596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738.1명), 수도권에서 421명(70.6%) 비수도권에서는 175명(29.4%)이 발생하였다.
○ 수도권
(주간 : 1.3일~1.9일, 단위 : 명) | |||||||||
구분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주간 일 평균 | 주간 누계 |
수도권 | 444 | 686 | 455 | 566 | 622 | 452 | 421 | 520.9 | 3,646 |
서울 | 196 | 325 | 193 | 262 | 291 | 186 | 180 | 233.3 | 1,633 |
인천 | 48 | 101 | 48 | 35 | 37 | 30 | 46 | 49.3 | 345 |
경기 | 200 | 260 | 214 | 269 | 294 | 236 | 195 | 238.3 | 1,668 |
- 서울 송파구 교정시설과 관련하여 격리자 추적검사 중 3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180명이다.
구분 | 계 | 종사자 | 수용자 | 가족 | 지인 |
전일 누계 | 1177 | 23 | 1133 | 20 | 1 |
금일 누계 | 1180(+3) | 24(+1) | 1135(+2) | 20 | 1 |
* 종사자 1명(자가격리 중 확진), 수용자 2명(남부교도소 이송 후 확진 1명, 6차 전수검사 미결정자 추가확진 1명)
** 7차 전수검사(574명) 결과 12명 확진(익일 통계 반영 예정)
- 서울 양천구 요양시설2와 관련하여 격리자 추적검사 중 6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46명이다.
구분 | 계 | 입소자 | 종사자 (지표환자 포함) | 가족 |
1.6일 누계 | 40 | 28 | 11 | 1 |
금일 누계 | 46(+6) | 30(+2) | 14(+3) | 2(+1) |
- 서울 강남구 택시회사와 관련하여 12월 21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6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7명*이다.
* (구분) 종사자 10명(지표포함), 가족 6명, 기타 1명
- 경기 용인시 수지구 종교시설과 관련하여 1월 6일 이후 접촉자 조사 중 37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60명*이다.
* (구분) 교인 133명(지표포함, +29), 가족 10명(+6), 기타 14명, 조사중 3명(+2)
- 경기 안산시 병원과 관련하여 1월 6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0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1명*이다.
* (구분) 환자 7명(지표포함), 종사자 4명
○ 강원권
(주간 : 1.3일~1.9일, 단위 : 명) | |||||||||
구분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주간 일 평균 | 주간 누계 |
강원권 | 33 | 28 | 27 | 16 | 30 | 11 | 5 | 21.4 | 150 |
- 강원 속초시 의료기관과 관련하여 12월 29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접촉자 조사 중 17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8명*이다.
* (구분) 환자 9명(지표포함), 종사자 3명, 환자의가족 5명, 조사중 1명
○ 충청권
(주간 : 1.3일~1.9일, 단위 : 명) | |||||||||
구분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주간 일 평균 | 주간 누계 |
충청권 | 44 | 51 | 57 | 53 | 45 | 39 | 61 | 50.0 | 350 |
대전 | 8 | 6 | 7 | 8 | 9 | 8 | 5 | 7.3 | 51 |
세종 | 1 | - | - | 1 | 3 | - | - | 0.7 | 5 |
충북 | 26 | 23 | 32 | 21 | 14 | 10 | 30 | 22.3 | 156 |
충남 | 9 | 22 | 18 | 23 | 19 | 21 | 26 | 19.7 | 138 |
- 충북 괴산군/음성군/진천군 병원과 관련하여 역학조사 결과, ‘경기 안성시 병원’과 연관성이 확인되었으며, 격리자 추적검사 및 격리 해제 전 검사를 통해 34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385명이다.
구분 | 계 | 환자 구분 |
① 괴산 병원 | 52 | 환자 40명(지표포함), 종사자 6명, 방문자 6명 |
② 음성 병원 | 174(+20) | 환자 159명(+20), 종사자 15명 |
③ 진천 병원 | 125(+14) | 환자 123명(+14), 종사자 2명 |
④ 안성 병원 | 34 | 환자 33명, 종사자 1명 |
○ 호남권
(주간 : 1.3일~1.9일, 단위 : 명) | |||||||||
구분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주간 일 평균 | 주간 누계 |
호남권 | 43 | 86 | 31 | 53 | 30 | 28 | 24 | 42.1 | 295 |
광주 | 26 | 74 | 23 | 30 | 28 | 21 | 6 | 29.7 | 208 |
전북 | 5 | 9 | 4 | 22 | 2 | 7 | 13 | 8.9 | 62 |
전남 | 12 | 3 | 4 | 1 | - | - | 5 | 3.6 | 25 |
- 전북 순창군 요양병원과 관련하여 12월 30일 이후 격리자 추적조사 중 20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96명*이다.
구분 | 계 | 환자/입소자 | 종사자 (지표환자 포함) | 가족/지인 | 기타 |
12.30일 누계 | 76 | 60 | 8 | 8 | - |
금일 누계 | 96(+20) | 78(+18) | 9(+1) | 9(+1) | - |
○ 경남권
(주간 : 1.3일~1.9일, 단위 : 명) | |||||||||
구분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주간 일 평균 | 주간 누계 |
경남권 | 38 | 72 | 39 | 66 | 52 | 52 | 48 | 52.4 | 367 |
부산 | 19 | 34 | 14 | 38 | 23 | 23 | 17 | 24.0 | 168 |
울산 | 7 | 5 | 4 | 2 | 9 | 10 | 8 | 6.4 | 45 |
경남 | 12 | 33 | 21 | 26 | 20 | 19 | 23 | 22.0 | 154 |
- 울산 중구 종교시설과 관련하여 1월 6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2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3명*이다.
* (구분) 교인 13명(지표포함)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집단 발생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요양병원 등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선제검사 현황을 설명하였다.
○ 최근 요양병원·시설, 정신병원 등 감염취약시설*을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발생하면서,
* 울산 남구 요양병원 관련(246명), 서울 구로구 요양병원/요양원(225명), 경기 부천시 요양병원(168명), 충북 청주시 요양시설 관련(110명) 등(’21.1.8일 기준)
- 작년 12월 21일부터 요양병원·시설, 정신병원 등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코로나19 주기적 선제검사를 의무화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 금년 1월 4일부터는 선제검사를 한층 더 강화하여, 전국 주 1회로 주기적 검사를 실시하고 대상시설을 확대*하며, 확진환자 발생 시 긴급현장 대응팀을 파견하여 신속한 초동대응을 통해 추가 확산 최소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상시설 확대) 요양병원, 요양시설, 정신병원, 정신요양·재활시설 → 양로시설, 중증장애인거주시설 추가
○ 2주간 감염취약시설의 선제검사 현황(’20.12.21.~’21.1.1)을 살펴보면,
- 전체 대상기관 13,008개소 중 10,257개소(78.85%)가 선제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전체 대상 인원(444,883명) 기준으로는 368,563명(82.84%)이 검사를 받아 66명이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 대상기관별로는 요양병원 81.8%, 요양시설 69.7%, 정신병원 139.1%, 정신요양·재활시설 110.5% 등 기관 간 시행실적의 편차가 컸다.
○ 방역당국은 감염취약시설의 코로나19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주기적 선제검사를 통해 확진자를 빨리 찾는 것이 중요하므로, 해당 기관(시설)에 조속한 검사 실시를 독려하고, 검사실적을 관리하는 등의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수도권 코로나19 임시선별검사소 익명검사 실시 현황을 설명하였다.
○ 지난해 12월 14일부터 서울, 경기, 인천 지역 유동인구가 많은 곳 등에 단계적으로 임시선별검사소를 설치하여 1월 9일 0시 기준 총 144개소가 운영 중*이다.
*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 적용이 연장(1.4.∼1.17.)됨에 따라, 검사소 운영도 연장되면서 검사실적과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일부 조정(153개소 → 144개소)
○ 동 기간 총 929,147건의 검체를 검사해 2,776명의 코로나19 확진자(검사 대비 확진자 비율 0.30%)를 조기 발견해 역학조사 및 관리 중으로, 추가 감염이 확산되는 것을 사전에 통제하였다.
< 지역별 검사 및 확진자 현황 >
구분 | 익명검사(건) | 확진자(명) | 검사 대비 확진자 비율(%) |
계 | 929,147 | 2,776 | 0.30 |
서울 | 470,763 | 1,425 | 0.30 |
경기 | 388,878 | 1,110 | 0.29 |
인천 | 69,506 | 241 | 0.35 |
- 검체 종류별로는 비인두도말 PCR 검사 911,674건(98.1%), 신속항원검사 13,197건(1.4%), 타액 PCR 검사 4,234건(0.5%)을 실시했으며,
- 신속항원검사 양성 42건에 대한 2차 비인두도말 PCR 검사 결과, 양성 26건(61.9%), 음성 15건(35.7%)으로 확인됐고 1건은 검사가 진행 중(2.4%)이다.
○ 방역당국은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운영종료 전에 그간의 운영실적을 평가하여 운영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며,
- 시민들께 지역사회 코로나19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코로나19 증상이 있거나 검사가 필요한 경우 선별진료소 또는 임시선별검사소를 방문하여 검사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코로나19 증상이 있거나 역학적 연관성이 있어 검사가 필요한 경우는 선별진료소로, 별도의 증상이 없으나 불안감으로 검사를 받고 싶은 경우 임시선별검사소를 방문‧검사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구치소, 요양병원 등 대규모 집단감염 발생에 따라, 집단시설 내 코로나19 확진자 조기선별을 위한 신속항원검사 시행방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 정부 각 부처별로 집단감염 가능성, 의료대응부담 등을 고려하여 소관 집단시설 중 검사대상시설을 선정하고, 해당 시설은 주기적 선제검사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며,
- 집단생활로 인한 감염확산의 특성을 고려, (신규)입소자, 종사자, 외부 방문자 등으로 구분하여 주기적 검사시행도 가능하다.
○ 신속항원검사는 확진검사에 앞서 코로나19 조기발견을 위한 선별검사로 활용하는 것으로, 가짜양성·가짜음성에 주의할 필요가 있으며,
- 양성으로 확인될 경우 반드시 보건소 신고 후 PCR 확진 검사를 실시해야하며, 음성으로 확인되더라도 안심하지 말고 마스크 착용, 손위생 등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행정안전부에서 운영 중인 안전신문고*로 학원과 관련하여 신고된 사례를 공유하였다.
* (신고방법) 안전신문고 앱(안드로이드, IOS) 및 포털(www.safetyreport.go.kr)에서 코로나19 위반사항 등 신고 가능
○ 전국적으로 강화된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가 발령 중임에도 집합금지, 음식 섭취금지 등 방역수칙을 위반한 사례들이 신고됐다.
- 재수학원이 스터디카페로 변경하여 운영하면서 60여명의 학생들이 밀집한 채로 수업을 받고, 저녁에는 급식도 제공한 사례가 있었고,
- 학원에서는 논술과목을 신규로 개설한 후 다른 학원에서 수강한다고 안내하면서 실제로는 같은 공간에서 9명을 초과하여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 무도학원에서는 80여명이 주말마다 모여서 춤추고, 학원생에게 음료수를 판매하고 있었으며,
- 댄스학원에서는 23명의 학생을 같은 공간에서 5~9명씩 반을 나눠 수업하고 탈의실도 동시에 사용한 사례가 있었고,
- 어학원의 경우, 영어캠프를 운영하며 음식을 나눠 먹거나 21시 이후에 환기가 되지 않는 좁은 교실에서 30여명씩 밀접되어 수업을 받은 사례가 있었다.
○ 방역당국은 최근 수도권 학원의 영업제한이 완화(1.4~) 되면서 편법으로 운영하는 사례가 늘고 있어, 코로나19 집단감염 예방 및 확산 차단을 위해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주기를 당부했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작년 11월 말 발생한 경북 상주시 BTJ열방센터 집단발생 관련 추적검사 현황을 설명했다.
○ BTJ열방센터 관련 방문자는 총 2,837명(방문자 명단 2,832명, 역학조사로 확인 5명)으로, 그 중 872명(30.7%)이 검사받아 154명이 양성으로 확인됐다.
- 확진자 중 45명이 8개 시·도에 21개 종교시설 및 모임을 통해 총 351명에게 추가전파 되었으며, 해당 종교시설·모임의 방문자 등을 계속해서 파악하고 검사하고 있다.
○ 방역당국은 작년 11월 말 이후 경북 상주시 BTJ열방센터를 방문한 사람은 관할 보건소 선별진료소를 방문하여 즉시 검사 받을 것을 당부했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유행과 거리두기가 장기화됨에 따라, 그간 누적된 국민의 피로감이 극심하지만, 2021년 새해에도 정부와 국민, 의료인이 다시 한번 힘을 모아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자고 강조하였다.
○ 1월17일까지 연장하여 시행하는 연말연시 특별방역 강화대책 및 수도권(2.5단계)ㆍ비수도권(2단계)의 거리두기 조치를 잘 따라 줄 것을 요청하면서,
○ 새해에도 변함없이 코로나19 대응에 중요한 세 가지 수칙을 철저히 지켜줄 것을 당부하였다.
- 첫째, 모든 사적인 모임은 취소하고 집에서 안전하게 머무르며, 종교 활동, 모임, 행사는 비대면·비접촉으로 진행한다.
- 둘째, 장소와 상황을 불문하고 실내 및 2m 이상 거리 유지가 어려운 실외에서는 항상 마스크를 착용하고,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대면 식사, 음주, 흡연과 같은 상황은 가급적 피한다.
- 셋째, 발열‧호흡기 증상 등 의심 증상이 있을 때는 신속하게 검사를 받는다.
○ 아울러, 의료기관은 코로나19 의심 환자 또는 호흡기 증상 환자가 방문할 경우 검사의뢰서를 적극 발급하여, 선별진료소에서 별도의 문진 절차 없이 신속하게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를 거듭 당부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코로나19 감염취약시설 선제검사 현황
4. 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1.4. ∼ ’21.1.17.)
5. 비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1.4. ∼ ’21.1.17.)
6.「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대비 대국민 행동 수칙
2.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관련 홍보자료
3. 코로나19 예방 손씻기 포스터
4.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5.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6. 생활 속 거리 두기 행동수칙 홍보자료(3종)
7.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8.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9.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0.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12.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3.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4.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